[Spring boot] WebSocket 을 사용하여 채팅 서비스 구현하기(3) - STOMP를 사용하여 실시간 채팅 구현 (비동기 처리)
·
Back-End/Spring
들어가며야구 직관 서비스 캐치미 프로젝트에서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구현한 내용을 기록 및 복습의 목적으로 본 글을 포스팅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TOMP 프로토콜과 스프링 내장 메시지 브로커를 사용해서 실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과정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캐치미 서비스의 채팅 도메인 규칙과 채팅 ERD 설계 과정이 궁금하신 분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 [Spring boot] WebSocket 을 사용하여 채팅 서비스 구현하기(2) - 채팅 데이터베이스 설계하기들어가며야구 직관 서비스 캐치미 프로젝트에서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구현한 내용을 기록 및 복습의 목적으로 본 글을 포스팅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캐치미 채팅 서비스의 도메인 규칙에tenaciously.tistory.com  Web..
[Spring boot] WebSocket 을 사용하여 채팅 서비스 구현하기(2) - 채팅 데이터베이스 설계하기
·
Back-End/Spring
들어가며야구 직관 서비스 캐치미 프로젝트에서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구현한 내용을 기록 및 복습의 목적으로 본 글을 포스팅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캐치미 채팅 서비스의 도메인 규칙에 따라 채팅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 경험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소켓과 웹소켓, STOMP 프로토콜에 대한 개념, HTTP 통신과의 차이점의 차이점을 알고 싶은 분은 이전 글을 참고해 주세요! [Spring boot] WebSocket 을 사용하여 채팅 시스템 구현하기(1) - 웹소켓(WebSocket), STOMP 이해하기들어가며야구 직관 서비스 캐치미 프로젝트에서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구현한 내용을 기록 및 복습의 목적으로 본 글을 포스팅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켓과 웹소켓, STOMP 프로토콜에 대한tenaciousl..
[Spring boot] WebSocket 을 사용하여 채팅 서비스 구현하기(1) - 웹소켓(WebSocket), STOMP 이해하기
·
Back-End/Spring
들어가며야구 직관 서비스 캐치미 프로젝트에서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구현한 내용을 기록 및 복습의 목적으로 본 글을 포스팅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켓과 웹소켓, STOMP 프로토콜에 대한 개념, HTTP 통신과의 차이점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채팅에 관련된 채팅방, 채팅 데이터 테이블의 ERD 설계부터 실제 코드 구현, MongoDB로 마이그레이션을 통한 성능 개선까지 실제 프로젝트를 참여하며 겪었던 고민들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이미 웹소켓에 대한 기본 개념이 있으시다면 다음 글로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    웹소켓(WebSocket) 이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HTTP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지만, 아래와 같은 웹..